-
[D3] SWEA 14692. 통나무 자르기SWEA 2024. 4. 30. 08:17
1. 접근 방식
헷갈리고 감이 안 왔다.
이럴 땐 역시 n=1,2,3,~~
조건이 작은 것부터 나열해보면 된다.
그래서, 홀수일 땐 Bob의 승리
짝수일 땐 Alice의 승리란 걸 찾았다.
2. 디테일한 구현
홀수일 땐 Bob의 승리
짝수일 땐 Alice의 승리
3. 코드 구현
12345678910111213if __name__=='__main__':# sys.stdin=open('input2.txt','r')test_case=int(input()) ## 총 테스트 케이스 개수for tc in range(test_case):n=int(input())if n%2==0:print(f"#{tc+1} Alice")else:print(f'#{tc+1} Bob')cs 4. 깨달은 점 및 반성
규칙성과 수학적 개념이 있어야한다.
'SWE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D3] SWEA 1206. [S/W 문제해결 기본] 1일차 - View (0) 2024.04.30 [D3] SWEA 14555. 공과 잡초 (0) 2024.04.30 [D3] SWEA 15230. 알파벳 공부 (0) 2024.04.30 [D3] SWEA 15612. 체스판 위의 룩 배치 (0) 2024.04.29 [D3] SWEA 15758. 무한 문자열 (0) 2024.04.29